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병원마다 진료비 차이가 큰 이유?

by chai-yoon 2023. 1. 3.

같은 질환으로 진료를 받아도 병원마다 진료비 차이가 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라 본인부담금 및 진료비 가산비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동일 규모의 병원임에도 진료비 차이가 나는 이유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비급여 진료비용이 병원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비급여 진료비용은 병원이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1. 의료기관의 규모 및 종별 가산율

   ① 의료기관은 규모에 따라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으로 분류합니다.

   ② 종별 가산율이란, 병원 규모에 따라 시설, 인력, 장비 등의 투자비용을 고려하여 일정 비율을 가산하여 진료비를 책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분 규모 본인부담금 비율
(일반환자의 외래진료 시)
종별 가산율
(건강보험/의료급여)
의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등 30% 건강보험15%
의료급여11%
병원급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의료기관 40% 건강보험 20%
의료급여 15%
종합병원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의료기관 50% 건강보험 25%
의료급여 18%
상급 종합병원 중증질환 중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종합병원 60% 건강보험 30%
의료급여 22%

<병원별 본인부담금 비율, 종별 진료비 가산율>

                                                                                                                                                        (단위 : %)

병원별 본인부담비율 및 진료비 가산율

 

2. 동일 규모의 병원임에도 진료비 차이가 나는 이유?

비급여 진료비용이 병원마다 다르기 때문에 진료비 차이가 발생합니다. 같은 비급여 항목이라도 의료 인력과 장비, 시술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가격이 다를 수 있지만 너무 차이가 나면 이용자 입장에서는 불합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그래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이용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2013년부터 비급여 항목 및 비급여 진료비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2022.12.14. 기준 876개 항목)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이나 모바일 앱(건강e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https://www.hira.or.kr/)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이미지
건강보홈심사평가원 비급여 진료비용 정보

     

         〇 세부사항에서 각 병원의 진료 금액을 알 수 있고, 해당 지역 동일 규모의 중간 금액도 확인하실 수 있어요.

 

   ② 모바일 앱 ‘건강e음’

건강e음 모바일 앱 이미지
건강e음 비급여 진료비용 정보

         〇 비급여 진료비가 병원을 선정하는 기준이 되지는 않겠지만, 병원 선정 시 체크리스트에 넣어 두고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〇 또한 가벼운 경증 환자는 가까운 동네 병원이나 의원에서 진료받는 것이 비용적인 면에서 합리적이겠네요.

 

3. 진료비 및 약제비 할증 시간 있어요.

   - 진료과목별로 가산 여부와 가산율이 다르긴 하지만 시간과 요일에 따라 할증이 있습니다.

   - 보다 세부적이고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해당 병원에 문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① 병의원 진찰료 가산

       • 평일 18:00~다음날 09:00: 30%

       • 토요일 및 공휴일 : 30%

   ② 약제비(처방에 따른 조제비)

       • 평일 18:00~다음날 09:00: 30%

       • 토요일 13:00~다음날 09:00: 30%

       • 일요일, 공휴일 : 30%

 

<출처 : 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갑자기 아픈 경우나 직장 관계로 시간이 나지 않으면 어쩔 수 없지만 가능하다면 평일 09:00~18:00시에 병원 및 약국을 이용하는 것이 가산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방법이겠네요.

 


우리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활용하셔서 병원 선정 시 보다 나은 선택을 하셨으면 좋겠고, 무엇보다 병원, 약국 갈 일이 없는 건강한 한 해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병원마다 진료비 차이가 큰 이유 포스팅의 썸네일
비급여 진료비 차이

댓글